겨울철에는 난방으로 인해 실내 습도 관리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쾌적한 실내 습도는 40~60%, 실내 적정 온도는 20~22도 정도이기에 온도계나 습도계를 실내에 배치하거나 보일러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실내 습도 관리 방법에 대해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겨울철 실내 습도 관리 방법
겨울철에는 난방에 의해 실내 공기가 건조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실내 환경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면역력이 저하되거나 호흡기 질환, 피부 건강 악화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측면에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가습기 사용
가습기는 빠르게 습도를 맞출 수 있는 훌륭한 수단입니다. 요즘 출시되는 가습기는 초음파나 가열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에 안성맞춤입니다.
하지만, 가습기 내부에는 세균이 번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세척이나 필터 교체 등 주기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천연 가습
가습기가 실내 습도를 맞추는데 안성맞춤이지만 가격이 저렴한 편은 아닙니다. 이로 인해 가습기가 없더라도 천연 가습 방법을 통해 습도를 맞출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대표적인 천연 가습 방법으로는 젖은 수건 실내 배치, 물이 담긴 그릇 배치 등이 있으며, 스파티필럼이나 산세베리아 등의 습도 조절 특성이 있는 식물을 배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러한 식물을 실내에 배치한다면 공기 정화 효과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환기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환기가 적용되어야 합니다. 환기를 하면 습도가 낮아지게 되지만, 반대로 환기를 하지 않을 경우 습도 조절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환기를 통해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용이하게 습도를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난방
난방을 하면 자연스럽게 실내 공기가 건조해지게 됩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난방기 주변에 물이 담긴 그릇을 놓거나 가습기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20도에서 22도로 난방을 설정하면 실내 공기가 건조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도 증가하게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습도계 배치
습도계는 실내 습도를 직관적으로 체크할 수 있기에 하나쯤은 배치해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쾌적한 실내 습도는 40~60% 정도이며, 이를 초과할 경우 곰팡이나 세균이 서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실내 습도와 건강
실내 습도는 40~60%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습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호흡기 점막이 촉촉해지게 되며,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 점막 건조, 감기, 독감 등의 호흡기 질환이 발생되기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피부 및 눈 건강
실내 공기가 건조할 경우 피부와 눈의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게 되며, 이는 가려움증, 염증, 피부 노화, 안구 건조증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됩니다. 눈의 경우 이러한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실내 습도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선 적정 실내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관리를 해야 합니다. 또한, 너무 높은 습도는 가구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