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에서 공개된 결혼정보회사 등급표는 많은 논란이 생기고 있습니다. 이는 결혼정보회사나 결정사에서 측정되는 직업 등급표이지만, 본인의 직업이 어느 정도에 해당되는지 테스트 용도로만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결혼정보회사 직업 등급표 2024년 기준으로 업데이트한 최신 정보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결혼정보회사 직업 등급표
S등급
- 판사, 경검사 (서울검찰청 직속 검사)
- 김앤장과 같은 3대로펌 변호사
-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개업한 전문의
- 개인 명의 자산 500억 이상인 자 (비자수성가)
A+등급
- 치과 개업 의사
- 비 미용업 개업 전문의
- 5급 서울시청 발령자
- 5급 금융위원회, 공정위원회, 재경공무원 국세청
- 개인 명의 자산 100억 이상인 자 (자수성가)
A등급
- 개원 한의사
- 페이 닥터
- 개국 약사 A급
- SKY출신 로스쿨 변호사
- 5급 재경공무원
- 5급 외무 공무원 (외교)
- 5급 국회 입법 공무원
- MBB급 IB 취업자
- 대기업 (FAANG급 본사 및 핵심 사업소 엔지니어)
A-등급
- 공인회계사
- 변리사
- 로스쿨 출신 중위권 변호사
- 대기업 (카카오, S-Oil 등)
- 금감원, 은행연합회, 정출연 박사연구원, 한국은행
- 박사연구관 합격한 자
- 개인 명의 재산 100억 이상인 자 (비자수성가)
B+등급
- 수의사
- 세무사, 노무사, 법무사, 감정평가사
- 로스쿨 출신 하위권 변호사
- 메이저 투자증권회사, 농협중앙회, 새마을금고 중앙회, 산업은행, 인국공, 마사회
- 경찰간부, 소방간부, 주요직렬 (검찰청, 특허청, 국세청, 외교부), 서울시 공무원, 7급 국정원
- 대기업 (삼성전자, 라인, 현대차, 네이버, SK에너지, GS칼텍스)
B등급
- A급 기술사: 보험계리사, 관세사, 소방 등
- 7급 일반행정 공무원, 주요교과 정교사, 석사연구사 합격자
- 지방본사 금융공기업, 지방본사 메이저 공사: 한전, 정출연사무, KOTRA, 한국감정원, 한수원
- 대기업 (포스코, 카드사, 4대 재벌그룹 계열사, 메이저 1금융권 합격자, 신세계, 중위권 회사)
B-등급
- LH, 도로공사, 공항공사, 서울교통공사, 수매공
- B급 기술자: 건축사, 손해사정사, 구조기술 분야
- 예체능 교과 정교사
- 중형증권사 합격자
- 대기업 (메이저 생산직 합격자: 현대, 기아, 주요 정유사)
- 개인 명의 재산 50억 이상인 자 (비자수성가)
C+등급
- 행정사
- 중하위권 공사: 농어촌공사, 소비자원, 서울시설공단, 한전KPS, 한국철도공사
- 9급 선호 직렬: 워라밸이 좋은 서울 근무 기관
- 입직자: 장교 (비사관학교 출신), 교정직, 순경, 소방 합격자
- 중위권 중견기업 및 강소기업, 외근직 승무원, 초봉 5천 이상 IT 스타트업
- 부모님: SKY 의치한약 학력 보유
C등급
- 공인중개사
- 지방공기업 및 지방공단: 지자체가 출자하거나 운영하는 기관
- 9급 지방직(비수도권): 9급 소수직렬(전산, 운전)
- 지역 농협, 축협, 수협 입사자, 내근직 승무원, 중소기업 연구원
C-등급
- 9급 기피직렬, 부사관 입직자
- 제약회사 영업직, 중소기업 입사자, 소규모 학원 강사
블라인드 결정사 반응
해당 목록을 읽다 보면 수긍하게 되는 포인트도 있지만, 곳곳에서 갸우뚱하게 만드는 부분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으로 인해 결혼정보회사 직업 등급표를 신뢰하지 않고 글을 닫거나 내린 사람들이 있을 겁니다.
실제로 블라인드 반응도 비슷합니다. 현재는 이전에 비해 위상이 추락된 카카오가 네이버보다 위라는 점에 동의를 못할 것이며, 본업이 수익추구인 카카오가 정말 IT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도 의문이라는 반응이 대다수입니다.
또한, 자산 부분에서 공감되지 못하는 포인트가 있으며, 해당 직업 등급표의 경우 전문직이나 공기업, 공무원, 사기업 등 몇 안 되는 기준으로 나누는 부분도 이해가 되지 않기도 합니다.
결혼정보회사 등급표를 알아보았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최신 정보를 업데이트한 내용이지만, 직업의 종류의 빈약, 전망 유무 등 따져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에 해당 글은 재미로만 봐주는 것을 권장합니다.